9. 볼이 상대 선수에게 맞았을 경우와 선수의 회전
(Ball hitting the opponent and a player turning)
9.1.볼이 프론트 월에 도달하기 전에 스트라이커의 상대 선수(선수가 착용한 모든 것 포함)에
맞았을 때 랠리는 중단되고, 심판은 다음과 같이 규정을 적용 하여 결정한다.
9.1.1. 볼이 상대 선수의 몸에 맞지 않았다면 유효 리턴이 될 수 있었고, 볼이 어느
벽에도 닿지 않고 앞 벽 쪽으로 날아가는 경우였다면 스트라이커는 “stroke"을
획득한다. 규정 9.1.3의 경우는 제외된다.(G4)
9.1.2. A선수가 볼의 둘레를 돌아 회전하여 볼을 치거나, 혹은 몸의 오른편(왼편)으로
지나친 볼을 몸의 왼편(오른편)에서 받아침으로써 결과적으로 볼이 A선수
둘레를 경유하게 된 경우 A선수가 볼을 쳐 B선수의 몸에 볼이 맞았다면
B선수가 그 “stroke"을 획득한다. 하지만 볼을 맞은 B선수가 볼을 피하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 볼을 친 A선수에게 “stroke"이 부여된다.
(G4,G5참조) ★회전의 의미
※G4:선수가 볼에 맞은 경우(회전과 시도 포함)
상대선수가 볼에 맞은 모든 상황에 레퍼리는 판정을 내리며 마커의 콜은
레퍼리가 판정을 내리기 전에는 필요하지 않다. 스트라이커가 아닌
상대선수가 프런트 월에서 방해 없이 오는 볼에 맞았을 때, 볼에 맞은
선수는 “stroke"을 잃게 된다. 단,”놓친 볼을 치기위한 시도“(규정10참조)
가 적용되는 경우는 제외된다.
거짓스윙 일지라도 시도로 해석되어질 수 있지만 만약 라켓의 움직임이
없이 오직 백스윙 자세만 잡고 있었다면(볼 쪽으로 라켓이 가지 않았다면)
이것은 시도가 아니다.
B선수(상대선수)가 프런트 월로 가는 볼에 맞았을 경우는 규정9와
규정10을 적용한다.
A선수(스트라이커)가 방해 없이 볼에 맞은 경우 A선수(스트라이커)는 그
랠리를 잃고 마커는 볼이 정확하게 맞지 않았으므로“Not up"을 콜 해야
한다. 마커가 잘못 콜 하지 않는 한 레퍼리의 결정은 필요하지 않다.
방해로 인해 경기자가 볼에 맞은 경우 규정12를 적용한다.
만약 회전을 하여 볼을 칠 때 스트라이커는 자신이 친 볼이 상대선수에게
맞지 않을것이란 확신이 있어야 한다. 만약 상대선수가 방해를 피하려는
최선의 노력을 하지않은 경우 스트라이커에게 “stroke"이 부여되지만 이런
경우를 제외하곤 스트라이커는 그 랠리를 잃는다.
※G5:재 시도 또는 회전에 의한 방해
A선수(스트라이커)가 볼을 치기 위해 재 시도를 하거나 회전을 할 경우,
B선수(상대선수)는 A선수(스트라이커)가 볼을 칠 수 있는 경로와 자유롭게
볼을 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할 의무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규정12가 적용된다. 그러나 A선수(스트라이커)가 볼을 치기
위해 재 시도 혹은 회전을 했으나 너무 빠른 상황이 되어 상대선수가 미쳐
방해를 피할 수 없었을 경우 레퍼리는 “Let"을 허용한다.
만약 B선수(상대선수)가 피해줄 시간이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노력을 하지않았을 경우 혹은 의도적으로 늦게 움직임으로써 방해가 일어
났다면 레퍼리는 A선수(스트라이커)에게 “stroke"을 주어야 한다.
만약 A선수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자세를 잡고 있었으나 볼을 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자세를(라켓)옮겼을 경우 재 시도 또는 회전이 아니며 이런
경우 방해가 일어난다면 규정12를 적용한다. 이런 상황은 프런트 월과
사이드 월을 동시에 맞고 코트 중앙에 바운드 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다.
9.1.3. 만약 스트라이커가 친 볼이 재시도였다면 규정 9.1.2.를 제외하곤
“Let"이 주어진다.(G5)
9.1.4. 유효리턴이 프론트 월에 도달하기 전 어느 벽에 맞았거나 그 방향으로
진행 중에 상대선수에 닿았다면 규정 9.1.5를 제외하곤 “Let"이주어진다.
9.1.5. 만약 그 볼이 상대선수에 닿지 않았을 경우 승리를 결정지을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면 볼을 친 선수에게 “stroke"이 부여된다.
9.1.6. 만약 볼이 유효리턴이 될 수 없었던 상황이라면 볼을 맞은 선수에게
“stroke"이 부여된다.
9.2. 스트라이커(A선수)가 회전한 경우
9.2.1. A선수(스트라이커)는 볼을 치기 전 B선수가 볼이 맞을 것이 두려워 랠리를
멈추고 어필하였다면 레퍼리는 아래의 상황을 고려하여 판정한다.
9.2.1.1. 만약 A(스트라이커)선수는 유효 리턴을 만들 수 있었고, B선수가 볼에
맞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면 규정 9.2.3을 제외하곤 “Let"이 주어진다.
9.2.1.2. A선수(스트라이커)가 유효리턴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면
“Let"은 인정되지 않는다.
9.2.2. A선수(스트라이커)가 방해로 인해 랠리를 중단하고 어필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규정이 적용된다.
9.2.2.1. 만약 A선수(스트라이커)가 B선수의 방해 행위로 인해 유효리턴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면 “Let"이 주어진다.
9.2.2.2. 만약 B선수가 랠리의 지속을 위해 피해주려는 노력이 없었던 경우에는
A선수(스트라이커)에게 “stroke"이 부여된다.
9.2.2.3. A선수(스트라이커)가 유효리턴을 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Let"이
인정되지 않는다.
9.2.3. 만약 선수의 회전이 볼을 치기 위한 시도로 보여지기보다는 어필을 위해
연출되었다면 “Let"은 허용되지 않는다.
★준비운동: 유연성∽스트레칭(머리,손목,발목,팔,허리,다리,옆구리..)∽계단오르기
근력∽팔 굽혀 펴면서 손벽치기∽민첩성∽쪼그려 앉았다 펴기∽사이드 스텝
※ 김 선임 선수:
'Me > 스쿼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연재11 (0) | 2014.06.17 |
---|---|
[스크랩] 연재10 (0) | 2014.06.17 |
[스크랩] 연재8 (0) | 2014.06.17 |
[스크랩] 연재7 (0) | 2014.06.17 |
[스크랩] 연재6 (0) | 201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