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스쿼시 이야기

[스크랩] 연재17

낭만로은 2014. 6. 17. 13:39

17. 코트내의 행위 규정(Conduct on court)

 

  17.1. 코트 내에서의 선수의 행동이 상대 선수, 심판원, 관중들에게 위협적이거나

         모욕적이었다거나, 혹은 어떤 식으로든 게임을 불명예스럽게 만들었다고

         레퍼리가 판단한 경우, 그 선수는 페널티를 받게 된다.

 

  17.2. 이 룰에 의해 다루어지는 반칙들은 욕설이나 폭행 등 명백한 저속행위, 마커나

         레퍼리의 판정에 대한 불복종, 라켓, 볼, 코트의 오남용, 그리고 휴식시간 이외에

         코치 받는 경우(G15)등을 포함한다. 그밖에도 불필요한 신체적(규정12.12.1.)접촉과

         과도한 스윙(규정12.4.), 불공평한 워밍업(규정3.2.), 코트에 늦게 들어오는 행위(규정7.4.),

         위험한 행동(규정16.3.1.3.참조), 시간 지연(규정7.6.)등이 있다. 앞서

         열거된 경우들과, 적당하다고 레퍼리가 판단한 그 밖의 모든 반칙들에 대하여

         다음의 페널티에 관한 조항들 중 하나가 적용된다.

 

  17.3. 위의 반칙에 따른 페널티를 상황에 맞게 적용한다.

       ※ 레퍼리에 의한 경고 (Conduct Warning)

       ※ 상대 선수에게 스트로크 부여 (Conduct Stroke)

       ※ 상대 선수에게 게임 부여 (Conduct Game)

       ※ 상대 선수에게 매치 부여 (Conduct Match)

     17.3.1. 레퍼리가 경고를 주기 위해 랠리를 중단시킨 경우, “Let"이 주어진다.

     17.3.2. 레퍼리가 “Conduct Stroke”을 주기 위해 랠리를 중단시킨 경우, 그 주어진 “Stroke”이 랠리의 결과로 간주된다.

     17.3.3. 랠리의 종료 후에 “Conduct Stroke”을 주는 경우, 그 랠리의 결과는 유효하게

               유지되고 “Conduct Stroke”이 추가되는데, 서비스 박스의 교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게임 종료 후에 주어지는 “Conduct Stroke”은 다음 게임으로  넘겨져서 추가된다.

     17.3.4. 레퍼리가“Conduct Game”을 주는 경우, 게임이 진행 중에 있다면 그 게임을,

               그렇지 않다면 다음 게임을 준다. 후자의 경우, 게임 간 휴식 시간의 적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주어진 게임에서 반칙을 범한 선수가 이미 득점한 점수는 기록으로 인정된다.

 

         ※G15. 코칭(Coaching)

                       코칭은 게임간의 휴식시간에만 허용된다. 경기 지속과 아무런 영향이

                       없는 간단한 격려와 점수에 관한 선수간의 대화는 코칭에 포함되지

                       않는다. 레퍼리는 그러한 간단한 격려가 코칭이 되는지 결정할 자유 재량권을 가진다.

                       경기 중 외부의사 소통의 대화 도구는 일체 금지된다.

                       레퍼리의 규정17에 의거하여 경기규정에 위배된 코칭에 대해 페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G16. 페널티의 적용

                        규정 17에 의거하여 레퍼리가 부여하는 페널티는 다음과 같다.

                               Warning(Conduct Warning)

                               Stroke (Conduct Stroke)

                               Game (Conduct Game)

                               Match (Conduct Match)

               - 페널티 적용 지침

                   레퍼리가 부여하는 첫 페널티는 반칙 강도에 따라 Warning, Stroke,

                   Game이나 Match등의 페널티를 적용한다. 그러나 같은 반칙을 다시

                   했을 경우에는 그 이전의 페널티에 비해서 향상된 단계의 페널티를

                   주어야 한다. 향상된 단계의 페널티를 받아야 할 반칙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레퍼리는 다음과 같은 반칙에 대해 여러 차례의 Warning과 Stroke를 줄 수 있다.

Conduct Warning

경기자명 for (반칙)

Conduct Stroke

경기자명 for (반칙) 스트로크

to 상대 선수명

Conduct Game

경기자명 for (반칙) 게임

to 상대 선수명

Conduct Match

경기자명 for (반칙) 매치

to 상대 선수명

                 마커는 스코어에 영향을 주는 레퍼리의 판정 부분만을 콜 해야 한다.

 

※ 최유라 선수

 

출처 : 스쿼시가 좋다
글쓴이 : 김태완 원글보기
메모 :

'Me > 스쿼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연재19  (0) 2014.06.17
[스크랩] 연재18  (0) 2014.06.17
[스크랩] 연재16  (0) 2014.06.17
[스크랩] 연재15  (0) 2014.06.17
[스크랩] 연재14  (0) 2014.06.17